가상머신(VM)과 하이퍼바이저란?
이전 글 : 가상화란 무엇일까?
https://jie0025.tistory.com/660
✅ Virtual Machine 가상머신
물리서버에 여러개의 가상서버를 만드는 기술이다.
각각의 가상서버는 자체CPU, 메모리, 네트워크인터페이스, 스토리지를 갖추게 된다.
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하여 하나의 물리서버에 여러 운영체제를 띄운다.
게스트OS 위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.
* 하이퍼바이저는 VMware Virtualization Layer (가상화계층)을 구현해주는 SW이다.
- <하이퍼바이저> 라는소프트웨어에 가상버서를 생성하는 요청을 하게 된다.
- 하이퍼바이저는 새로운 가상서버를 생성하고, 물리서버의 자원을 각각의 가상서버로 전달한다
- 하이퍼바이저는 각 서버에 필요한 운영체제 OS를 설치한다.
장점
- 격리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1개의 VM에서 발생한 일이 다른 VM에 영향을끼치지 않는다.
- VM마다 독립적인 OS를 가지므로 단일 서버에서 Linux Windows등 여러가지 OS를 사용할 수 있다.
단점
- VM이 많아질수록 안정성이 떨어진다. 성능에 따라 실행 속도 저하가 발생한다.
- OS자체가 무거운 소프트웨어라서 게스트 OS가 많아진다는것은 용량에 부담이 된다.
- VM간 통신시엔 HostSystem을 거쳐야하는데 네트워크상 부담이 될수있다.
✅ 하이퍼바이저
하이퍼바이저는 프로세서, 메모리, 스토리지와 같은 컴퓨팅 리소스 (물리 리소스) 를 분할해
리소스를 필요로 하는 VM이 이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.
간단하게 말해 하드웨어 위에서 가상머신을 생성하고, 자원을 할당하고, 가상머신의 요청을 처리해주는 매니저 역할이다.
⏺ Type1 Native / Bare Metal 하이퍼바이저
하드웨어 위에서 직접 구동되어 게스트 OS를 관리한다.
호스트 OS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.
장점 : 게스트 OS는 하드웨어 위에 2번쨰 수준으로 실행되기에 오버헤드가 적다\
단점 : 가상머신에대한 자체 관리 기능이 없다.
ex) ESXi Citrix의 Xen Microsoft의 Hyper-V
기업용 데이터센터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식이다.
가상화를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전가상화, 반가상화 등의 유형으로 나뉜다.
⏺ Type2 Hosted 하이퍼바이저
Host OS를 갖는 하이퍼바이저이다.
하드웨어에 호스트 OS가 따로 존재하며 하이퍼바이저는 그 OS 위에서 SW로 동작한다.
장점 : 기존 시스템 위에서 쉽게 사용 가능하다.
단점 : 게스트 OS는 하드웨어 위에 3번쨰 수준으로 실행되기에 오버헤드가 크다.
호스트 OS의 문제가 게스트 OS에 영향을 준다.
ex) VMWare Workstation, Oracle VirtualBox
개인 컴퓨터에서 VM을 사용할 때 사용하는 유형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