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30 | 31 |
Tags
- java
- 데이터베이스
- 공부일지
- 1과목
- SQL
- 정보처리산업기사
- 코딩봉사
- programmers
- 문제풀이
- 시나공
- 알고리즘
- 회고
- 코딩교육봉사
- 소프티어
- CJ UNIT
- SW봉사
- python
- BFS
- 프로그래머스
- 파이썬
- softeer
- C++
- 백준알고리즘
- 자바
- 스프링
- MYSQL
- 백준 알고리즘
- kotlin
- 코틀린
- 백준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2025/03/30 (1)
JIE0025

✅ 웹소켓 프로토콜은 무엇이고 왜 사용할까?개발을 할 때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요청-응답 기반 단방향 통신을 했었다. 즉,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을 보내면, 서버는 응답을 반환 하고, 연결울 종료하는 방식이다. 이 경우 항상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해야하며, 서버는 요청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는 의미가 된다. ⚠️ HTTP 한계만약 서버가 어떤 변경사항을 클라이언트에게 빠르게 알려줘야한다면 HTTP를 통해서 하기엔 어려워진다.HTTP 메시지에는 헤더가 차지하는 공간이 큰데, 채팅 앱 같이 단문의 메세지를 주고받는 경우 네트워크 낭비가 커질 수도 있다. ▶️ 웹소켓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웹소켓 프로토콜이 나왔다.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. 양쪽에서 언제든지 메세..
Infra/Network
2025. 3. 30. 19:06